일 년만의 스시조.
오늘도 박진홍 셰프를 만나 반가웠다. 오랜만이라 물으셔서 일 년에 한 번 겨우 온다고 했다.
예약이 어려워서 그러냐고 다시 물어보시는데... 언제나 돈이 문제죠 😇
이제 bar도 끊었겠다, 스시를 탐구해 볼까.
일 년만의 스시조.
오늘도 박진홍 셰프를 만나 반가웠다. 오랜만이라 물으셔서 일 년에 한 번 겨우 온다고 했다.
예약이 어려워서 그러냐고 다시 물어보시는데... 언제나 돈이 문제죠 😇
이제 bar도 끊었겠다, 스시를 탐구해 볼까.
이번엔 글렌피딕!
글렌피딕은 몰트 입문기에 누구나 거쳐갔을 대중적인 위스키라 온라인시음회에 참가를 할까 고민했는데
역시 결정을 하게 만드는 결정적인 요인은 이런 기회가 아니면 고숙성 위스키를 경험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위스키를 마신지 제법 되었지만 여전히 21년, 26년은(30년은 물론이고) 마셔보지 못했다.
위스키코냑클럽의 시음회나 되어야 아드벡의 아드복이니, 발베니30년이니 하는 것들을 마셔볼 수 있지.
zoom을 이용한 온라인 시음회라는 창의적인 시도와 함께여서 한결 재미있었고
간단한 주전부리로 황태껍질 튀각을 곁들였다.
12년
버번과 쉐리 캐스크 숙성이라 기본적으로 단맛과 바닐라 향이 있으나 강하진 않다.
서양 배 혹은 청사과의 상큼하고 청량한 맛이 특징. 역시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이유가 있다.
누가 마셔도 싱글 몰트의 특징을 느낄 수 있고, 40도이지만 상당히 절제된 맛.
15년
버번과 쉐리 캐스크의 원액들을 솔레라 배트에 담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절반을 솔레라 툰이라 부르는 오크통에 옮겨
재숙성을 거치는 방식으로 생산한다. 일종의 씨간장이나 백년된 장어집 소스 같은 개념이려나?
몰트 마시던 초창기에는 12, 15, 18중에 15년을 가장 좋아했었다. 특유의 꿀맛이 내 취향이기 때문이었다.
오랜만에 접한 15년은 역시 그때의 기쁨을 되살려주었다. 버번의 버터스카치, 쉐리의 과일 당 조합은
위스키의 도수를 어려워하는 사람들에게도 신선한 기분을 줄 법 하다.
18년
이전에는 18년의 참 맛을 몰라봤는데, 이번에 역시 괜히 18년 숙성한 게 아니구나 싶었다.
맛이 진하고, 특히 오크의 풍미가 선명해서 이것이 오크 숙성이구나 싶다. 전반적으로 밸런스가 뛰어나고,
사과의 단맛이 지나간 뒤로 계피의 스파이시함이 따라와 다채롭고 재밌는 맛을 경험할 수 있다.
21년
21년간 버번 캐스크 숙성 후 3~6개월을 캐러비안 럼 캐스크에 숙성한다고 한다.
럼 캐스크 숙성이라 그런지 일단 열대 과일과 브라운 슈가의 단맛이 강조되며, 매콤한 맛과 마지막에는 짠맛도 나타난다.
위스키의 색과 맛이 뛰어남은 크게 관계 없을 듯도 하지만, 시각적으로 이렇게 진한 호박색의 술은 괜히 더 보석처럼
가치있어 보이고, 꿀을 가득 품고 있을 것 같은 착각을 준다. 그런 면에서 21년의 기대치는 실제 맛과 일치한다고 본다.
26년
단종된 술을 마실 수 있어 영광이고, 언제 또 이런 술을 먹나 한 방울 한 방울이 아쉬웠다.
100% 버번 캐스크 숙성인데 캐러멜 색소를 첨가하지 않아 색이 투명하고 옅다. 바로 위에 적었듯 색과 맛을 관계짓는
것은 나만이 아닌가 보다. 고숙성인데 이렇게 옅은 색은 시장에서도 선호하지 않는다 한다. 그래서 단종되었다고.
맛은 의외로 복잡하였다. 숙성 년도가 오래될 수록 맛이 중화되고 부드러움이 강조되는 듯 했는데,
글렌피딕 26년은 다른 제품보다 도수도 조금 높아서 고도수를 마신다는 기분을 들게 하고, 조금 더 원액에 가까운 듯
진함이 느껴졌다. 버번 캐스크이니 만큼 바닐라 풍미가 있고, 여기에 견과류의 고소함과 살짝 오렌지의 과일향이 나타났다.
끝으로는 짠맛이 혀를 터치하며 바닷가의 풍경이 스쳐지나갔다.
개인적인 선호는 21-26-15-18-12 순서인데, 사실 한 잔으로 평가하기 어렵긴 하다.
단맛을 좋아하지만 여러잔 먹기에는 혀가 피곤할 수도 있기 때문에.
아무튼 이번 시음회 참여도 좋은 선택이었다.
다음의 이벤트는 무엇일지, 어떤 위스키와 만날지 기대가 크다.
1. 아란 배럴 리저브 43%
대섯 개 중 가장 옅은 색이지만 황금색에는 가장 가깝다.
퍼스트 필 버번 캐스크의 특징이 두드러진다.
고도수 증류주의 강함은 별로 없고, 부드럽게 잘 넘어가고, 버번 오크의 바닐라 단 맛이 뛰어나다.
혀에서는 청사과의 단 맛, 코로는 꽃의 화사함이 느껴진다.
2. 아란 10년 46%
로즈골드 빛깔.
배럴 리저브와 비슷하게 향긋하고 꽃향기가 넘친다.
버터스카치와 청사과 맛으로 매우 달지만 스모키 피니시가 입 안에 남는다.
누가 봐도 명료하게 나는 몰트요 라고 외치는 듯 하여 상당히 대중적인 기준이라 본다.
3. 아란 18년 46%
새로운 디자인의 병에도 18년이 있는지 모르겠다. 수입사의 홈페이지에서는 21년이 보인다.
제일 맘에 드는 것으로 하나 꼽을 수 있겠다.
꿀 향이 나고 짙은 달콤함이 특징이다.
단 맛은 마치 조청과도 같이 눅진하고 두터워서 그로 인해 도수가 잘 느껴지지 않는다.
버번의 카라멜 맛과 쉐리의 장점을 잘 보여주며 피니시가 길다.
오크 향이 짙고 그러한 특성으로 인해 여러 잔 먹기에는 혀가 피곤할 수 있겠다.
참치 스시를 먹을 때처럼 특유의 산미가 느껴지기도 했다.
4. 아란 쿼터캐스크 보티 56.2%
꿀 맛이 가장 강하고, 버번 오크통으로만 숙성해서 그런지 전반적으로 맛의 스펙트럼이 얇다.
트로피칼 과일의 단 맛 이후에 혀를 아리게 하는 스파이스와 짠 맛이 지배적이다.
매콤함과 알콜의 부즈함이 최종적으로 입에 남는다.
가장 먼저 치고 올라오면서 자기 주장이 강하지만 상대적으로 취향을 탈 것으로 예상된다.
5. 아란 쉐리캐스크 보데가 55.8%
기본적으로 오크가 갖는 중후함,
쉐리 와인의 건포도, 초콜릿 맛이 특징이다.
맛의 스펙트럼이 두텁고, 복잡하다.
뭔지 모르지만 고급스럽고, 매번 먹을 때마다 다른 인상을 줄 것 같다.
하나만 고르라면 쉐리캐스크!
맘에 드는 것은 5-3-4-2-1 순서.
작년 런치 오마카세 이후로 오랜만이자 디너는 처음.
배 터지면 어쩌지 싶었는데, 그런 정도는 아니었다. 생각보다 식사도 금방 끝남.
2015년 11월.
점심 스시 오마카세
젓가락 받침은 배꽃? 벚꽃?
오랜만에 먹는 자왕무시
시작은 쥐돔 사시미. 단단해서 식감이 좋다.
제주 한치
복 튀김
부들부들 잘 찐 전복
가리비에 우니
농어
청어. 두 번째로 맛났음.
너무 부드러워서 금방 사라짐.
역시 장어. 넘버 원.
이런 표현은 이상하지만, 쥐포 맛도 남.
역시 갈은 유자를 올리심.
서비스로 주신 광어. 안에 우니 들어감.
급하게 먹어 무슨 맛인지 기억도 안 남
냉우동. 낫또와 마 포함.
이 곳을 들어가서 좌회전 한 후 시장 끝으로 가면 유명 맛집이 나온다.
닭 튀김의 열기가 반갑지만은 않다.
바삭 바삭 닭 튀김 대령이오
첫 해체의 긴장되는 순간
마...맛이 어떠오?